최근 한 기업의 원로가 강연회에서 "정주영, 이병철회장은 많이 배운 사람들이 아닌데에도 데이터는 5%만 활용하고 나머지 95%는 직관력으로 경영을 해서 성공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영자는 아랫사람들이 가지고 오는 데이터, 숫자로만 판단해서는 안되고, 그 숫자 뒤에 숨어 있는 뜻을 읽을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우리들이 리더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서 갖는 통념이다. 여러분들도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1) 리더는 심사숙고하며, 체계적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2) 리더는 총괄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 정보는 IT 시스템이나 문서와 같은 공식 채널을 통해서 가장 잘 얻을 수 있다.
3) 리더는 과학적인 지식과 전문성을 갖고 의사결정을 내린다.
이를 경영전략의 대가인 헨리 민쯔버그 (Henry Mitzberg) 교수가 실증 분석한 결과, 아애와 같이 조사되었습니다.
1) 8시간동안 지켜본 결과 리더는 48초단 하나의 일을 처리했다.
2) 리더는 문서보다 구두 보고나 전화, 미팅을 더 선호한다.
3) 리더는 객관적인 자료에 기반한 계량화된 경영기술보다는 직관에 의존한다
리더에게는 전문적인 지식보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얻는 직관력과 결정된 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행력이 요구된다. 요즈음과 같은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어느 때보다 창조성이 강조되는 시기에는 더욱 필요하다. 그렇다고 치밀한 분석에 입각해 사전에 분석된 시나리오대로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고 진행하는 방식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객관적 자료에 기반한 직관 경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현재는 '직관 경영'이 더 더욱 필요.... 작성자 : 한국농업대학 Kygho
최근 한 기업의 원로가 강연회에서 "정주영, 이병철회장은 많이 배운 사람들이 아닌데에도 데이터는 5%만 활용하고 나머지 95%는 직관력으로 경영을 해서 성공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영자는 아랫사람들이 가지고 오는 데이터, 숫자로만 판단해서는 안되고, 그 숫자 뒤에 숨어 있는 뜻을 읽을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우리들이 리더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서 갖는 통념이다. 여러분들도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1) 리더는 심사숙고하며, 체계적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2) 리더는 총괄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 정보는 IT 시스템이나 문서와 같은 공식 채널을 통해서 가장 잘 얻을 수 있다.
3) 리더는 과학적인 지식과 전문성을 갖고 의사결정을 내린다.
이를 경영전략의 대가인 헨리 민쯔버그 (Henry Mitzberg) 교수가 실증 분석한 결과, 아애와 같이 조사되었습니다.
1) 8시간동안 지켜본 결과 리더는 48초단 하나의 일을 처리했다.
2) 리더는 문서보다 구두 보고나 전화, 미팅을 더 선호한다.
3) 리더는 객관적인 자료에 기반한 계량화된 경영기술보다는 직관에 의존한다
리더에게는 전문적인 지식보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얻는 직관력과 결정된 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행력이 요구된다. 요즈음과 같은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어느 때보다 창조성이 강조되는 시기에는 더욱 필요하다. 그렇다고 치밀한 분석에 입각해 사전에 분석된 시나리오대로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고 진행하는 방식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객관적 자료에 기반한 직관 경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현재는 '직관 경영'이 더 더욱 필요.... 작성자 : 한국농업대학 Kygho